728x90
반응형
  • 문제

2048 게임은 4×4 크기의 보드에서 혼자 즐기는 재미있는 게임이다. 이 링크를 누르면 게임을 해볼 수 있다.

이 게임에서 한 번의 이동은 보드 위에 있는 전체 블록을 상하좌우 네 방향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같은 값을 갖는 두 블록이 충돌하면 두 블록은 하나로 합쳐지게 된다. 한 번의 이동에서 이미 합쳐진 블록은 또 다른 블록과 다시 합쳐질 수 없다. (실제 게임에서는 이동을 한 번 할 때마다 블록이 추가되지만, 이 문제에서 블록이 추가되는 경우는 없다)

<그림 1>의 경우에서 위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2>의 상태가 된다. 여기서, 왼쪽으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3>의 상태가 된다.

<그림 4>의 상태에서 블록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그림 5>가 되고, 여기서 다시 위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6>이 된다. 여기서 오른쪽으로 블록을 이동시켜 <그림 7>을 만들 수 있다.

<그림 8>의 상태에서 왼쪽으로 블록을 옮기면 어떻게 될까? 2가 충돌하기 때문에, 4로 합쳐지게 되고 <그림 9>의 상태가 된다.

<그림 10>에서 위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11>의 상태가 된다. 

<그림 12>의 경우에 위로 블록을 이동시키면 <그림 13>의 상태가 되는데, 그 이유는 한 번의 이동에서 이미 합쳐진 블록은 또 합쳐질 수 없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똑같은 수가 세 개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하려고 하는 쪽의 칸이 먼저 합쳐진다. 예를 들어, 위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위쪽에 있는 블록이 먼저 합쳐지게 된다. <그림 14>의 경우에 위로 이동하면 <그림 15>를 만든다.

이 문제에서 다루는 2048 게임은 보드의 크기가 N×N 이다. 보드의 크기와 보드판의 블록 상태가 주어졌을 때, 최대 5번 이동해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블록의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 (1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게임판의 초기 상태가 주어진다. 0은 빈 칸을 나타내며, 이외의 값은 모두 블록을 나타낸다. 블록에 쓰여 있는 수는 2보다 크거나 같고, 1024보다 작거나 같은 2의 제곱꼴이다. 블록은 적어도 하나 주어진다.

  • 출력

최대 5번 이동시켜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블록을 출력한다.

  • 예제 입력
3
2 2 2
4 4 4
8 8 8
  • 예제 출력
16
  • 접근방식

이동해서 합치는 함수를 만들고 그것을 90도로 돌리는 함수를 만들면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 하고 90도로 돌리는걸 4번 반복하면 4방향을 모두 슬라이드 하는 것이니 이 중 가장 큰 값을 구하면 된다.
중간에 돌리거나 이동하거나 할 때 temp를 사용해서 보드 갱신

  •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cstring>

using namespace std;

int n, result;

struct Board
{
    int board[24][24];

    void rotate90()
    {
        int temp[24][24];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temp[i][j] = board[n - j - 1][i];
            }
        }
        memcpy(board, temp, sizeof(board));
    }

    void move()
    {
        int temp[24][24];
        for (int i = 0; i < n; i++)
        {
            int c = -1, d = 0;
            for (int j = 0; j < n; j++)
            {
                if (board[i][j] == 0)    continue;
                if (d && board[i][j] == temp[i][c])
                {
                    temp[i][c] *= 2;
                    d = 0;
                }
                else
                {
                    temp[i][++c] = board[i][j];
                    d = 1;
                }
            }
            for (c++; c < n; c++)
            {
                temp[i][c] = 0;
            }
        }
        memcpy(board, temp, sizeof(board));
    }

    void get_max()
    {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result = max(result, board[i][j]);
            }
        }
    }
};

void solution(Board c, int here)
{
    if (here == 5)
    {
        c.get_max();
        return;
    }

    for (int i = 0; i < 4; i++) // 4방향 모두 슬라이드
    {
        Board d = c;
        d.move();
        solution(d, here + 1);
        c.rotate90();
    }
    return;
}

int main()
{
    cin >> n;

    Board c;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cin >> c.board[i][j];
        }
    }

    solution(c, 0);
    cout << result;

    return 0;
}
 

12100번: 2048 (Easy)

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 (1 ≤ N ≤ 2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게임판의 초기 상태가 주어진다. 0은 빈 칸을 나타내며, 이외의 값은 모두 블록을 나타낸다. 블록에 쓰여 있는 수는 2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C++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C++]/백준 17406번 배열 돌리기 4  (0) 2024.03.25
[C++]/백준 3190번 뱀  (1) 2024.03.25
[C++]/백준 17144번 미세먼지 안녕!  (0) 2024.03.20
[C++]/백준 1700번 멀티탭 스케줄링  (1) 2024.03.20
[C++]/백준 3273번 두 수의 합  (0) 2024.03.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