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문제

회사원 Demi는 가끔은 야근을 하는데요, 야근을 하면 야근 피로도가 쌓입니다. 야근 피로도는 야근을 시작한 시점에서 남은 일의 작업량을 제곱하여 더한 값입니다. Demi는 N시간 동안 야근 피로도를 최소화하도록 일할 겁니다.Demi가 1시간 동안 작업량 1만큼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할 때, 퇴근까지 남은 N 시간과 각 일에 대한 작업량 works에 대해 야근 피로도를 최소화한 값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 제한 사항
    • works는 길이 1 이상, 20,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 works의 원소는 5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n은 1,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입출력 예시
works n result
[4, 3, 3] 4 12
[2, 1, 2] 1 6
[1,1] 3 0
  • 접근방식

n만큼 반복 하면서 벡터를 내림 차순으로 정렬 후 가장 높은 수 만큼 빼는 것으로 접근

1. n이 0이 될 때 까지 반복하다가 n이 0이 되거나 내림 차순으로 정렬한 벡터의 맨 앞(Max 값)이 0이면 반복 종료

2. works에서 front를 미리 뽑아 놓고 works의 벡터를 순회해서 미리 뽑아 놓은 front와 해당 순차의 works값이 같으면 n값과 함께 빼주기

3. 그렇지 않고 works의 다음 값이 있으면 다시 내림 차순 정렬, 해당 반복문 종료

4.  works에 남아 있는 값 제곱해서 answer에 더해주기

  • 코드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cmath>

using namespace std;

long long solution(int n, vector<int> works)
{
    long long answer = 0;
    
    sort(works.rbegin(), works.rend());

    while(n)
    {
        if (!works.front())
        {
            break;
        }
        
        int front = works.front();
        
        for (int i = 0; i < works.size(); i++)
        {
            if (!n)
            {
                break;
            }
            
            if (front == works[i])
            {
                works[i]--;
                n--;
            }
            else
            {
                if (i != works.size() - 1)
                {
                    if (works[i] < works[i + 1])
                    {
                        sort(works.rbegin(), works.rend());
                    }
                    break;
                }
            }
        }
    }
    
    for (int i = 0; i < works.size(); i++)
    {        
        answer += pow(works[i], 2);
    }
    
    return answer;
}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문제설명

IT 벤처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라이언은 매년 사내 해커톤 대회를 개최하여 우승자에게 상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우승자에게 지급되는 상금을 이전 대회와는 다르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결정하려고 합니다.
해커톤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참가자들에게는 숫자들과 3가지의 연산문자(+, -, *) 만으로 이루어진 연산 수식이 전달되며, 참가자의 미션은 전달받은 수식에 포함된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자유롭게 재정의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숫자를 제출하는 것입니다.
단,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새로 정의할 때, 같은 순위의 연산자는 없어야 합니다. 즉, + > - > * 또는 - > * > + 등과 같이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 있으나 +,* > - 또는 * > +,-처럼 2개 이상의 연산자가 동일한 순위를 가지도록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수식에 포함된 연산자가 2개라면 정의할 수 있는 연산자 우선순위 조합은 2! = 2가지이며, 연산자가 3개라면 3! = 6가지 조합이 가능합니다.
만약 계산된 결과가 음수라면 해당 숫자의 절댓값으로 변환하여 제출하며 제출한 숫자가 가장 큰 참가자를 우승자로 선정하며, 우승자가 제출한 숫자를 우승상금으로 지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참가자 중 네오가 아래와 같은 수식을 전달받았다고 가정합니다.

"100-200*300-500+20"

일반적으로 수학 및 전산학에서 약속된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르면 더하기와 빼기는 서로 동등하며 곱하기는 더하기, 빼기에 비해 우선순위가 높아 * > +,- 로 우선순위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대회 규칙에 따라 + > - > * 또는 - > * > + 등과 같이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 있으나 +,* > - 또는 * > +,- 처럼 2개 이상의 연산자가 동일한 순위를 가지도록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수식에 연산자가 3개 주어졌으므로 가능한 연산자 우선순위 조합은 3! = 6가지이며, 그 중 + > - > * 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결괏값은 22,000원이 됩니다.
반면에 * > + > - 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수식의 결괏값은 -60,420 이지만, 규칙에 따라 우승 시 상금은 절댓값인 60,420원이 됩니다.

참가자에게 주어진 연산 수식이 담긴 문자열 express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우승 시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상금 금액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expression은 길이가 3 이상 10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expression은 공백문자, 괄호문자 없이 오로지 숫자와 3가지의 연산자(+, -, *) 만으로 이루어진 올바른 중위표기법(연산의 두 대상 사이에 연산기호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표현된 연산식입니다. 잘못된 연산식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즉, "402+-561*"처럼 잘못된 수식은 올바른 중위표기법이 아니므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expression의 피연산자(operand)는 0 이상 999 이하의 숫자입니다.
즉, "100-2145*458+12"처럼 999를 초과하는 피연산자가 포함된 수식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56+100"처럼 피연산자가 음수인 수식도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expression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산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산자 우선순위를 어떻게 적용하더라도, expression의 중간 계산값과 최종 결괏값은 절댓값이 263 - 1 이하가 되도록 입력이 주어집니다.
같은 연산자끼리는 앞에 있는 것의 우선순위가 더 높습니다.

  • 입출력 예
expression result
"100-200*300-500+20"  60420
"50*6-3*2"  300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 > + > - 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했을 때, 가장 큰 절댓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연산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00-200*300-500+20
= 100-(200*300)-500+20
= 100-60000-(500+20)
= (100-60000)-520
= (-59900-520)
= -60420
따라서, 우승 시 받을 수 있는 상금은 |-60420| = 60420 입니다.

입출력 예 #2
- > * 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했을 때, 가장 큰 절댓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연산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expression에서 + 연산자는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50*6-3*2
= 50*(6-3)*2
= (50*3)*2
= 150*2
= 300
따라서, 우승 시 받을 수 있는 상금은 300 입니다.

  • 접근방식

1. 연산자와 숫자를 분리해서 벡터에 저장해두기

isdigit함수를 사용해서 문자와 숫자를 구별해서 저장, 연산자를 저장할 때 set을 써서 한번 더 저장(중복을 허용하지 않게 저장해서 순열 조합을 뽑기위해서) > 저장한 set을 tempoper라는 벡터에 담고 순열 조합을 뽑음

2. 계산 순서를 정하기 (순열)

숫자와 연산자를 담은 벡터를 복사하여 저장해두고 순열로 뽑은 조합대로 계산하기

3. 계산하기

tempoper 벡터를 순회하면서 나온 문자와 tempops(연산자를 담은 벡터를 복사한 벡터)의 요소가 같으면 즉, 해당 순서에 연산자이면 계속 계산 > 계산 후에는 뒤에 숫자 제거 & 사용된 연산자를 제거한다. 해당 순서의 연산자가 아니면 다음 요소 검색

벡터를 이런식으로 바꾼다 예시

4. 순열 조합마다 나오는 값을 비교해 최대값 구하기

  •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include <string>
#include <set>

using namespace std;

long long calculate(long long num1, long long num2, char op)
{
    if (op == '+') return num1 + num2;
    else if (op == '-') return num1 - num2;
    else return num1 * num2;
}

long long solution(string expression)
{
    long long answer = 0;
    set<char> operset;
    vector<long long> nums;
    vector<char> ops;

    string num = "";
    // 1. 연산자와 숫자 분리해서 저장하기
    for (char c : expression)
    {
        if (isdigit(c)) // isdigit는 숫자와 문자 구분해주는 함수 문자면 0 반환 , 해당 경우는 문자가 아닌 경우
        {
            num += c; // 나온 숫자들을 문자열에 저장
        }
        else // 문자면
        {
            nums.push_back(stoll(num)); // 숫자 벡터에 저장해둔 문자열을 long long 타입으로 바꿔서 저장
            num = "";
            ops.push_back(c); // 연산자 벡터에 연산자 저장
            operset.insert(c); //  set에 연산자 저장
        }
    }
    nums.push_back(stoll(num)); // 마지막 숫자 저장

    vector<char> tempoper(operset.begin(), operset.end()); // 연산자 순열을 위한 연산자 벡터 생성
    // 2. 계산 순서 정하기
    do {
        vector<long long> tempnums = nums; // 숫자 벡터 복사
        vector<char> tempops = ops; // 연산자 벡터 복사

        for (char op : tempoper)
        {
            for (int i = 0; i < tempops.size();)
            {
                // 3. 계산하기
                if (tempops[i] == op) // 순서에 맞는 연산자이면 계속 계산
                {
                    tempnums[i] = calculate(tempnums[i], tempnums[i + 1], op); // 연산 수행
                    tempnums.erase(tempnums.begin() + i + 1); // 뒷 숫자 제거
                    tempops.erase(tempops.begin() + i); // 사용된 연산자 제거
                }
                else // 순서에 맞지 않으면 다음 요소 검색
                {
                    i++;
                }
            }
        }
        // 4. 결과 최댓값 구하기
        answer = max(answer, abs(tempnums.front()));

    } while (next_permutation(tempoper.begin(), tempoper.end()));

    return answer;
}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문제설명

카카오에 신입 개발자로 입사한 "콘"은 선배 개발자로부터 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라는 업무 과제를 받았습니다. 소스를 컴파일하여 로그를 보니 대부분 소스 코드 내 작성된 괄호가 개수는 맞지만 짝이 맞지 않은 형태로 작성되어 오류가 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정해야 할 소스 파일이 너무 많아서 고민하던 "콘"은 소스 코드에 작성된 모든 괄호를 뽑아서 올바른 순서대로 배치된 괄호 문자열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려고 합니다.

  • 용어의 정의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 있을 경우, '(' 의 개수와 ')' 의 개수가 같다면 이를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여기에 '('와 ')'의 괄호의 짝도 모두 맞을 경우에는 이를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와 같은 문자열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지만 "올바른 괄호 문자열"은 아닙니다.
반면에 "(())()"와 같은 문자열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면서 동시에 "올바른 괄호 문자열" 입니다.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w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라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올바른 괄호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1. 입력이 빈 문자열인 경우,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2. 문자열 w를 두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단, u는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어야 하며, v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있습니다. 
3.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 이라면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다시 수행합니다. 
  3-1.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u에 이어 붙인 후 반환합니다. 
4.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라면 아래 과정을 수행합니다. 
  4-1. 빈 문자열에 첫 번째 문자로 '('를 붙입니다. 
  4-2.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 
  4-3. ')'를 다시 붙입니다. 
  4-4. u의 첫 번째와 마지막 문자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자열의 괄호 방향을 뒤집어서 뒤에 붙입니다. 
  4-5. 생성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p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주어진 알고리즘을 수행해 "올바른 괄호 문자열"로 변환한 결과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매개변수 설명

p는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며 길이는 2 이상 1,000 이하인 짝수입니다.
문자열 p를 이루는 '(' 와 ')' 의 개수는 항상 같습니다.
만약 p가 이미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그대로 return 하면 됩니다.

  • 입출력 예
p result
"(()())()"  "(()())()"
")(" "()"
"()))((()"  "()(())()"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이미 "올바른 괄호 문자열" 입니다.

입출력 예 #2
두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u = ")("
v = ""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므로 다음과 같이 새로운 문자열을 만듭니다.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하면 빈 문자열이 반환됩니다.
u의 앞뒤 문자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자의 괄호 방향을 뒤집으면 ""이 됩니다.
따라서 생성되는 문자열은 "(" + "" + ")" + ""이며, 최종적으로 "()"로 변환됩니다.


입출력 예 #3
두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u = "()"
v = "))((()"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 그대로 두고, v에 대해 재귀적으로 수행합니다.
다시 두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u = "))(("
v = "()"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므로 다음과 같이 새로운 문자열을 만듭니다.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하면 "()"이 반환됩니다.
u의 앞뒤 문자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자의 괄호 방향을 뒤집으면 "()"이 됩니다.
따라서 생성되는 문자열은 "(" + "()" + ")" + "()"이며, 최종적으로 "(())()"를 반환합니다.
처음에 그대로 둔 문자열에 반환된 문자열을 이어 붙이면 "()" + "(())()" = "()(())()"가 됩니다.

  • 접근방식

문제를 잘읽고 그대로 따라가면 된다. 3번에 "올바른 괄호 문자열"을 판별하기 위해 bool 함수를 만듬 > stack을 이용해서 문자열을 순회하면서 '('를 찾으면 스택에 넣고 다른 문자 ( ')' )를 찾으면 스택이 비어있는지 체크한후 pop, 마지막에 스택이 비어있지 않으면 false

  •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include <stack>

using namespace std;

// "올바론 괄호 문자열 "판별
bool isRightStr(string s)
{
    stack<char> stk;

    for (int i = 0; i < s.length(); i++)
    {
        // 문자열을 순회하면서 '(' 를 찾으면 스택에 넣고 다른 문자 ')' 을 만나면 pop함
        if (s[i] == '(')
        {
            stk.push(s[i]);
        }
        else if(stk.size()) // 해당 부분은 스택이 비어있을 때 pop하면 런타임 에러 발생
        {
            stk.pop();
        }
    }

    // 마지막에 스택이 비어있지 않으면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님
    if (stk.size())
    {
        return false;
    }

    return true;
}

string solution(string p)
{
    string answer;

    // 1. 입력이 빈 문자열인 경우, 빈 문자열 반환
    if (!p.size()) return "";

    //2. 문자열 w를 두 "군형잡힌 괄호 문자열" u, v로 분리
    //단, u는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어야 하며, v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있음
    string u, v;
    int left = 0, right = 0;
    for (int i = 0; i < p.length(); i++)
    {
        if (p[i] == '(')
        {
            left++;
        }
        else
        {
            right++;
        }

        //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을 찾으면 바로 분리
        // u = 처음 ~ 찾은 부분까지, v = 찾은 부분 ~ 끝까지
        if (left == right)
        {
            u = p.substr(0, i + 1);
            v = p.substr(i + 1);
            break;
        }
    }

    //3.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 이라면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 부터 다시 수행
    if (isRightStr(u))
    {
        v = solution(v);
        // 3-1. 수행한 결과를 u에 이어 붙인후 반환
        answer = u + v;
        return answer;
    }
    //4.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라면
    else
    {
        // 4-1. 빈 문자열에 첫 번째 문자로 '(' 붙임
        string temp;
        temp += '(';
        // 4-2.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이어 붙임
        temp += solution(v);
        // 4-3. ')'을 다시 붙임
        temp += ')';
        // 4-4. u의 첫 번째와 마지막 문자 제거, 나머지 문자열의 괄호 방향을 뒤집에서 뒤에 붙임
        u.erase(0, 1);
        u.erase(u.length() - 1, 1);
        for (int i = 0; i < u.length(); i++)
        {
            if (u[i] == '(')
            {
                temp += ')';
            }
            else
            {
                temp += '(';
            }
        }
        // 4-5. 생성된 문자열 반환
        return temp;
    }
}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 문제

어느 공원 놀이터에는 시소가 하나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시소는 중심으로부터 2(m), 3(m), 4(m) 거리의 지점에 좌석이 하나씩 있습니다.
이 시소를 두 명이 마주 보고 탄다고 할 때, 시소가 평형인 상태에서 각각에 의해 시소에 걸리는 토크의 크기가 서로 상쇄되어 완전한 균형을 이룰 수 있다면 그 두 사람을 시소 짝꿍이라고 합니다. 즉, 탑승한 사람의 무게와 시소 축과 좌석 간의 거리의 곱이 양쪽 다 같다면 시소 짝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의 몸무게 목록 weights이 주어질 때, 시소 짝꿍이 몇 쌍 존재하는지 구하여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2 ≤ weights의 길이 ≤ 100,000
100 ≤ weights[i] ≤ 1,000
몸무게 단위는 N(뉴턴)으로 주어집니다.
몸무게는 모두 정수입니다.

  • 입출력 예

           weights               result
[100,180,360,100,270]     4

  • 입출력 예 설명

{100, 100} 은 서로 같은 거리에 마주보고 앉으면 균형을 이룹니다.
{180, 360} 은 각각 4(m), 2(m) 거리에 마주보고 앉으면 균형을 이룹니다.
{180, 270} 은 각각 3(m), 2(m) 거리에 마주보고 앉으면 균형을 이룹니다.
{270, 360} 은 각각 4(m), 3(m) 거리에 마주보고 앉으면 균형을 이룹니다.

  • 접근방식

일반적인 완전탐색으로 접근했다가 시간초과가 나서 정렬후 다시 시도하였다.

  •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long long solution(vector<int> weights)
{
    long long answer = 0;
    // weights를 먼저 정렬하기 (정렬된 배열을 사용하면 순차적으로 비교할 때 시간 복잡도 감소)
    sort(weights.begin(), weights.end());

    // 완전 탐색을 통해 4:2, 4:3, 3:2, 1:1인 경우의 수 찾기
    for (int i = 0; i < weights.size(); i++)
    {
        for (int j = i + 1; j < weights.size(); j++)
        {
            if (weights[i] * 4 == weights[j] * 2 ||
                weights[i] * 4 == weights[j] * 3 ||
                weights[i] * 3 == weights[j] * 2 ||
                weights[i] == weights[j])
            {
                answer++;
            }
        }
    }

    return answer;
}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