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문제
한수는 캠프를 마치고 집에 돌아가려 한다. 한수는 현재 왼쪽 아래점에 있고 집은 오른쪽 위에 있다. 그리고 한수는 집에 돌아가는 방법이 다양하다. 단, 한수는 똑똑하여 한번 지나친 곳을 다시 방문하지는 않는다.
cdef ...f ..ef ..gh cdeh cdej ...f
bT.. .T.e .Td. .Tfe bTfg bTfi .Tde
a... abcd abc. abcd a... a.gh abc.
거리 : 6 6 6 8 8 10 6
위 예제는 한수가 집에 돌아갈 수 있는 모든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T로 표시된 부분은 가지 못하는 부분이다. 문제는 R x C 맵에 못가는 부분이 주어지고 거리 K가 주어지면 한수가 집까지도 도착하는 경우 중 거리가 K인 가짓수를 구하는 것이다.
- 입력
첫 줄에 정수 R(1 ≤ R ≤ 5), C(1 ≤ C ≤ 5), K(1 ≤ K ≤ R×C)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두 번째부터 R+1번째 줄까지는 R×C 맵의 정보를 나타내는 '.'과 'T'로 구성된 길이가 C인 문자열이 주어진다.
- 출력
첫 줄에 거리가 K인 가짓수를 출력한다.
- 예제 입력
3 4 6
....
.T..
....
- 예제 출력
4
- 접근방식
방문한 곳은 다시 방문하지 않으면 visited 필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문제여서 재귀하면서 원복 필요
- 코드
#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const int dy[4] = { -1, 0 , 1,0 };
const int dx[4] = { 0 , 1 , 0 ,-1 };
int r, c, k, visited[14][14];
char _map[14][14];
string s;
int funtion(int y, int x)
{
if (y == 0 && x == c - 1)
{
if (k == visited[y][x]) return 1;
return 0;
}
int result = 0;
for (int i = 0; i < 4; i++)
{
int ny = y + dy[i];
int nx = x + dx[i];
if (ny < 0 || nx < 0 || ny >= r || nx >= c || visited[ny][nx] || _map[ny][nx] == 'T') continue;
visited[ny][nx] = visited[y][x] + 1;
result += funtion(ny, nx);
visited[ny][nx] = 0;
}
return result;
}
int main()
{
cin >> r >> c >> k;
for (int i = 0; i < r; i++)
{
cin >> s;
for (int j = 0; j < c; j++)
{
_map[i][j] = s[j];
}
}
visited[r - 1][0] = 1;
cout << funtion(r - 1, 0);
return 0;
}
728x90
반응형
'C++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C++]/백준 1285번 동전 뒤집기 (0) | 2024.03.13 |
---|---|
[C++]/백준 19942번 다이어트 (0) | 2024.03.13 |
[C++]/백준 14620번 꽃길 (1) | 2024.03.05 |
[C++]/백준 15684번 사다리 조작 (1) | 2024.03.05 |
[C++]/백준 9934번 완전 이진 트리 (0) | 2024.03.05 |